본문 바로가기
지식쌓기/세무회계

전산세무 1급 이론 요점정리 : 재고자산

by 잡다주 2022. 12. 15.
728x90
반응형

재고자산

총액으로 보고하거나 상품, 제품, 재공품, 원재료 및 저장품 등으로 분류하여 재무상태표에 표시 만약, 재고자산을 총액으로 보고한 경우 그 내용을 재무제표의 주석으로 기재

 

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운임,수입관세 등 기타 원가를 포함

  • 원가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 : 재료원가,노무원가 및 기타의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, 추가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외의 보관비용,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기여하지 않은 관련 간접원가

★ 매출원가 = 기초상품 재고액+순매입액(매입금액+매입 부대비용-매입 환출 및 에누리-매입할인)-타계정 대체액-기말 상품 재고액

매출액 : 매출원가+매출총이익

 

재고자산의 단가결정방법은 재무제표의 주석으로 기재

  • 개별법 : 원가 흐름의 가정 중 가장 정확, 수익·비용 대응의 원칙에 적합
  • 선입선출법 : 물량 흐름과 일치, 수익·비용 대응 적절치 않음, 물가 상승 시 순이익이 높게 계상, 재고자산 금액은 시가에 가까움
  • 후입 선출법 : 기말재고 수량이 기초재고 수량보다 적다면 오히려 실제 당기순이익이 높게 계상
  • 가중평균 법 : 계속 기록법을 적용한 평균 법(이동평균 법) / 실지 재고조사법을 적용한 평균법(총평균법)
  • 물가 상승 시
기말재고 선 > 이 > 총 > 후
당기순이익 선 > 이 > 총 > 후
매출원가 선 < 이 < 총 < 후

매출 총이익률 법

매출원가 : 매출액*(1-매출 총이익률)

 

재고자산 감모손실 : 장부상 수량 < 실제 수량

정상 : 매출원가로 처리

비정상 : 영업외 비용

매출원가에 영향을 주는 것은 재고자산 감모손실 정상 분과 재고자산 평가손실 금액의 합계

 

재고자산 포함 여부

  • 미착품 : 선적지 ▷ 구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 / 도착지 ▷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
  • 시송품 : 소비자가 매입의사를 표시하기 전까지는 회사의 기말재고자산에 포함
  • 적송품 : 수탁자가 판매하기 전까지는 위탁자의 기말재고자산에 포함
  • 할부판매 : 판매시점에 대금이 모두 회수되지 않더라도 판매자의 재고자산에서 제외
  • 상품권 판매 : 상품권을 회수한 시점에 판매자의 재고자산에서 제외

 

728x90
반응형
LIST

댓글